어울리기/발표 글-경북매일

어제와 오늘, 내일

보니별 2024. 5. 27. 23:12

 

           등록일 2024.05.27 18:02           게재일 2024.05.28

 

 

 

활짝 웃는 장미꽃들이 금속 담장을 껴안고, 사람을 홀린다. 앞엔 맥주보리가 익는다. 듬성듬성 개보리도 뒤따른다. 5월 하순, 학교녹지의 한 모습이다.

 

41일 처음 보리 팬 이삭이 보였다. ‘벌써 보리가 패다니하고 살펴보았다. 사는 면적도 더 넓어졌다. 보던 보리와 달라 웹을 검색했다. 맥주보리였다. 아마 나무에 거름 줄 때, 씨앗이 따라왔겠지. 내 마음엔 맥주보리는 어제, 장미는 오늘, 둘이 함께하여 내일 같다. 문득, 옛 고향의 풋보리 디딜방아가 떠올랐다.

 

그 옛날, 아홉 집이 동기간같이 모여 사는 산골 동네에도 봄이면 어김없이 보릿고개가 닥쳐왔다. 보리가 반쯤 익을 무렵 저녁, 동네 아낙들은 허리춤에 풋보리 두세 됫박씩을 가지고 우리 집 디딜방앗간에 모였다. 저마다 고되게 사는 이야기들을 곡조로 살린 디딜방아 노랫소리는 밤이 이슥토록 흘러나왔다.

 

배고픈 가족들이 보릿고개를 넘을 일용할 풋 보리쌀은 이렇게 마련되었다. 거친 디딜방아 풋 보리쌀로 꽁보리밥을 지어 먹으면, 그야말로 까끄라기가 목구멍으로 넘어가는 느낌이었다. 밭 있는 집은 풋 꽁보리밥이라도 먹을 수 있었지만, 그렇지 못한 집은 송기(松肌), 나물죽 같은 것들로 연명해야 했다.

 

사람은 오늘을 산다. 오늘은 바로 어제에서 왔고, 내일로 이어지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우리 사회 사람들은 오늘만 있는 듯이 산다. 바보 질문이 저절로 속에서 나온다. ‘오늘은 어디서 왔는가.’라고. 오늘이 어제와 닿았다는 진실을 내팽개치고 사는 우리네의 행태가 너무 슬프다.

 

우리의 어제는 어땠는가. 바로, ‘보릿고개가 온 나라를 짓누르는 때였다. 그 예로, 1961년은 국민소득 82달러란 보릿고개의 해였다. 보릿고개를 넘고야 말겠다는 어제 지도자들의 의지, 결기, 국민의 근면, 자조, 협동이 없었다면 과연 오늘이 있을까. 단연코 없을 터다. 산업화 시기를 학생, 근로자로 살아낸 필자는 감히 장담할 수 있다.

 

저명한 역사가 토인비는 일찍이 문명은 엘리트 지도자들 곧, 창조적 소수의 지도하에 도전에 성공적으로 대응함으로써 등장한다.’라고 했다. 나아가 그들이 창조적 대응을 멈추었을 때 쇠퇴하며 민족주의, 군국주의, 전제적(專制的) 소수의 독재정치 등의 죄악에 의해 몰락한다.’라고 경고했다.

 

우리 정치꾼들은 나라 곳간 채울 마음은 쪼끔도 없이, 퍼낼 궁리만 해 댄다. 권좌에 앉으려는 뻔한 속셈이다. 토인비의 창조적 대응을 훼손하는 소인배 행태다. 솔직히, 명절 통행료 면제나 개인당 25만 원 지급 같은 포퓰리즘이 국민 삶에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만일, 정부가 세금으로 국민을 다 먹여 살린다면, 세금은 누가 낼까. 소가 웃을 자가당착이다.

 

우리는 토인비의 창조적 대응에 주목해야 한다. 어제 나라 엘리트들이 창조적 대응으로, 산업화와 민주화를 함께 이루어 냈다는 사실을 뜻있는 국민은 다 안다. 기후위기와 전쟁 등 국제 정세 변화는 국민 특히, 정치인에게 어제를 반면교사로 창조적 대응을 하라고 요구한다. 맥주보리와 장미가 함께하여 아름다운 것처럼.

'어울리기 > 발표 글-경북매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횃불 하나  (0) 2024.06.25
마무리 큐시  (2) 2024.06.10
빨대 신귀족  (0) 2024.05.13
4·10 숫자들의 향  (0) 2024.04.23
침묵하는 다수  (0) 2024.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