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21.11.16 20:01 게재일 2021.11.17
쌓아 둔 빈 비닐 비료 포대 위를 낫공치로 마구 두드렸다. 자신도 모르게 나온 반사 동작이다. 일고여덟 번쯤 두드리자, ‘아마 죽었을 테지…’하는 생각이 났다. 그제야 상황이 제대로 파악되어 동작을 멈추었다.
‘괜한 오기로 한 생명을 죽이는구나’하고 속말이 나왔다. 낫 날 끝으로 비닐 포대를 이리저리 뒤졌다. 축 늘어진 목표물은 없었다. 맨 아래 비닐 포대를 뒤졌을 때, ‘아! 그랬구나’하는 속말도 나왔다. 드러난 땅에 구멍이 나 있다. 내 반사 동작의 목표물은 구멍으로 도망간 게 틀림없다. 아마, 따뜻한 낮 기온에 먹이 찾아 나왔다가 나를 만나 줄행랑쳤으리라. 아까 현장 식탁용 판자를 들어낼 때, 달아나던 생쥐도 생각났다.
주말 텃밭을 가꾼 지 다섯 해째다. 처음 시작하면서 ‘노지재배를 하자’고 아내에게 떼를 쓰듯 주장해 동의를 얻었다. 유기질 비료를 주로 쓰고, 무기질 비료는 최소한만 쓰겠다고 마음먹었다. 농약도 첫해에 모종할 때 토양에 쓰는 분해성 농약을 조금 쓴 후, 다음 해부터는 쓰지 않았다. 아내는 가끔 농약과 비닐 덮개 안 쓰면 작물이 안 된다고 들은 소리를 말했지만, 일부러 흘려들었다. 텃밭 가꾸기는 가족에게 무농약 먹을거리를 조금이라도 마련해주려 시작했기 때문이다.
첫해엔 무성한 잡초를 손으로 뽑아내는 데 애를 먹었다. 이랑을 만들고, 들깨, 파, 옥수수, 고구마, 고추 등을 심었다. 작물이 자라나자 고구마, 고추는 순이 나오는 족족 고라니가 뜯어 먹었다. 옥수수도 통이 달리자, 멧돼지가 처참하게 대공까지 짓밟으며 어린 통옥수수를 다 따먹었다. 밭엔 결국 들깨와 파만 남게 되었다.
아까웠다. 하지만 이미 벌어진 일. 야생동물에게 먹이를 줬다 치자고 마음먹었다. 아내는 헌 현수막이라도 구해다 밭 가를 두르자고 했다. 왠지 야박하다는 생각에 그리하지 않았다. 요즈음 농촌에는 논밭을 펜스나 망으로 두르거나, 심지어 천장까지 망으로 덮은 곳이 제법 보인다. 해충이나 새, 산짐승들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막기 위한 농민들의 자구책이다. 어릴 땐 못 보던 풍경이다.
텃밭엔 식용 야생초들도 많이 났다. 민들레, 왕고들빼기, 쇠비름, 질경이 같은 것들이다. 우리는 식용 야생초를 뽑지 않고 적당할 때 뜯어 먹었다. 상추처럼 생으로 먹거나, 비빔밥에 넣어 먹는 재미와 보람도 누렸다. 농약을 쓰지 않으니까 무슨 애벌레, 거미, 메뚜기, 잠자리 같은 땅 위의 곤충과 굼벵이, 지렁이 등 땅속 생물들도 함께 사는 터전이 되었다.
텃밭에서 일할 때면 참새, 딱새 같은 새들이나, 개구리, 잠자리 등 생물들이 일부러 가까이 찾아온다고 느낄 때가 많다. 사람 냄새나, 가져간 먹을거리 냄새, 혹은 소리나 움직임 같은 신호를 따라온 것일 터다. 저들은 사람과 더불어 살고 싶은 것일까. 더구나 논들이 텅 빈 늦가을날, 우리 작은 텃밭에서 생쥐와 뱀, 개구리, 여러 곤충, 땅속 생물들을 모두 만나다니…. 행운이다.
아래, 위 두 다랑이가 모두 50평 정도인 작은 생태계 텃밭…. 농약과 비닐만 쓰지 않아도, 자연은 말없이 생태계를 복원한다는 기쁜 소식의 현장이 됐다.
'어울리기 > 발표 글-경북매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등 몰아주기 문화 (0) | 2022.01.03 |
---|---|
낙엽 이불 (0) | 2021.11.30 |
알파와 오메가의 법칙 (0) | 2021.10.19 |
애가 타는 국민 (0) | 2021.09.27 |
이런 공존 (0) | 2021.09.08 |